2025학사일정
DONGBANG SCHEDULE
0402)3668-9800 admin@dongbang.ac.kr
학교대표전화 상담시간 09:00~18:00
1 |
글로벌한국학연구 (全球化韩国学研究) Global Korean Studies |
한류는 이론화하면 한국학에서 파생된 것임을 알 수 있게 된다. 한국학의 1차사료는 한국과 중국·일본에 전해지는 각종 사료가 기본이 된다. 이들 텍스트들을 강독하고 연구함으로써 한류를 이론화하는 가장 기본적인 토대를 형성한다. |
---|---|---|
2 |
글로벌한국학연구방법론 (全球化韩国学研究方法论) Methodology of Global Korean Studies |
한국고대사는 한국 및 중국 사료에 많이 기록되어 있다. 한국사료는 물론 중국 사료에 기록된 한국고대사 사료를 찾고 유물과 유적 등을 통해 검증한다. |
3 |
글로벌한류문화연구 (全球化韩流文化研究) Global Studies of Korean Wave Culture |
현재 한류는 각 지역, 나라로 퍼져나가 글로벌화되었다. 이런 글로벌 현상은 갑자기 생긴 것이 아니라 우리 역사 문화의 오랜 전통이 응축되어 있다가 한국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퍼져나간 것이다. 그러나 학계는 아직도 한류를 한류학으로 이론화하지 못했다. 한류학을 이론화함으로써 한류를 전파하는 사람들이나 이를 받아들이는 세계인들이 한류의 개념과 실체를 정확하게 인식하게 할 것이다. |
4 |
한류의세계화및지속가능성연구 (韩流的世界化及可持续性研究) Studies on the Globalization and Sustainability of Korean Wave |
세계를 선도하는 한류는 1세대를 지나 현재 4세대에 이르고 있다. 한류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보편성에 대한 탐구를 통해 그 방안을 연구한다. |
5 |
K-문학·드라마·영화연구와한류 (K-文学、电视剧、电影研究与韩流) Research on K-Literature, Drama, Cinema, and the Korean Wave |
현재 전세계 K-문학, 드라마, 영화제에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데, 한국 예술은 그간 음지에서 꾸준히 이어왔던 예술가들의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이다. 한국 예술에 대해 이해한다 |
6 |
한류와출판·인쇄및정보통신 (韩流与出版、印刷及信息通讯) Hallyu and Publishing, Printing,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
한류가 전 세계적으로 선풍을 일으키고 있지만 출판 및 인쇄 그리고 정보통신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해당 관련성을 연구한다. |
7 |
동아시아문화교류연구 (东亚文化交流研究) Studies on East Asian Cultural Exchange |
1차 사료를 통해 한·중, 한·일, 한·몽, 한·만 등의 교류사와 그에 대한 연구방법론을 익힌다. |
8 |
동이족사연구 (东夷族史研究) Studies on the History of the Dongyi Tribe |
중국의 산동 및 동북의 동이가 남긴 유물과 유적 그리고 문헌 연구를 통해 동이족의 갈래 등을 연구한다. |
9 |
동아시아사학사와한류 (东亚史学事与韩流) East Asian Historiography and the Korean Wave |
동아시아는 고대부터 활발한 문화교류가 이루어졌다. 그 루트는 뭍길과 바닷길이 있었다. |
10 |
한국고대사1차사료연구 (韩国古代史第一次史料研究) Studies on Primary Sources in Ancient Korean History |
문헌사료 뿐만 아니라 돌이나 청동기에 새겨진 금석문과 민중이 전하는 구전사료 등의 1차 사료 가치를 이해하고 그 내용을 해석한다. |
11 |
한국중세사1차사료연구 (韩国中世史第一次史料研究) Studies on Primary Sources in Medieval Korean History |
왕조실록과 각종 개인문집에서 한국중세의 시대와 유물과 유적을 통해 문화사를 읽어낼 수 있다. |
12 |
한국근·현대사1차사료연구 (韩国近现代史第一次史料研究) Studies on Primary Sourc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
근대의 신문과 잡지, 각종 공적, 사적 기록들의 1차 사료를 통해 한국 근현대사를 살펴보고 당대의 문화 형성과 그 의식 등을 살핀다. |
13 |
한국문화고문서활용세미나 (韩国文化古文书活用研讨会) Seminar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Cultural Historical Documents |
유학경전, 역사서, 개인문집 등을 통해 당대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이러한 기록을 현대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연구한다. |
14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韩国独立运动史研究) Studies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독립운동사는 크게 민족주의, 사회주의, 아나키즘의 세 흐름이 있었다. 이 세 흐름 속에서 독립운동사 서술에서 누락되거나 보완할 부분을 살펴본다. |
15 |
한국문화사연구 (韩国文化史研究) Studies on Korean Cultural History |
한민족의 문화가 어떻게 시작되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지금에 이르렀으며, 앞으로의 과제는 무엇인지를 생각한다. |
16 |
한류형성과전개의역사적고찰 (韩流形成与展开的历史性考察) A Historical Examination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Wave |
고대부터 현재까지 한류의 기원과 전개 과정을 고찰함으로서 한류를 이끄는 원동력과 정신에 관해서 이해한다. |
17 |
한류문화스토리텔링연구 (韩流文化故事研究) Studies on Hallyu Culture Storytelling |
문화의 흐름을 주도하는 장르로서 스토리텔링을 이해하고 한류문화 스토리텔링의 방법을 연구한다. |
18 |
한류문화콘텐츠기획세미나 (韩流文化产品企划研讨会) Seminar on Hallyu Culture Content Planning |
한류문화를 선도하는 다양한 원본 콘텐츠의 가치를 이해하여 'OSMU'를 위한 기획를 할 수 있다. |